[2020학년도 기준] 교과목 정보는 입학년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교과목 정보는 교무처 학사지원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시험(Comprehensive Exam)
본 과목은 글로벌 한국학과 전공자로서 갖추어야 할 전공 관련 기반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종합시험으로써, 학과에서 실시하는 필기형식의 졸업시험을 통과하거나 학과에서 별도로 정한 전공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여야 한다.
한국학 입문 종합설계(Korean Studies Introductory Comprehensive Design)
한국학의 주요한 연구분야, 주제, 연구경향과 연구방법론에 대한 입문적 학습과 훈련을 통하여 한국학 연구자로서, 특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학 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이해와 소양을 갖도록 한다. 한국학 연구자, 교육자로서 필요한 학제간 연구방법과 연구자적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한국의 자연과 문화답사(Korea's Nature and Culture Exploration)
한국의 기후, 환경, 생태계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과 함께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산, 강, 해안, 주요 명승지에 대한 현장 체험을 통해 외국인 학생은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와 친밀도를 높이며, 내국인 학생의 경우 외국인에게 한국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효과적 방법을 체득한다.
한국문학과 세계문학(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한국문학 영역을 시공간적으로 확대하여 세계문학과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또한 한국문학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모색한다. 공간적으로는 동아시아로부터 인도양을 거쳐 대서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학을 접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과거와 현재의 모든 문학을 아우른다. 세계문학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 흐름 안에서 한국문학의 특성을 파악한다.
해양문명의 이해(Understanding of marine civilization)
인류의 역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해양문명의 기원과 발전, 특성 등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봄으로써 인류에게 해양문명이 얼마나 중요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게 된다. 그리하여 향후 한국문화가 진출해나갈 아프리카 인도양 문명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의 역사(Korean history)
한국의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 현대사에 대하여 학습하여 한국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역사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수강생들은 독서, 강의, 토론 등을 통해 한국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과정(초급/중급/고급)(Korean language course for foreigners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한국어 3급을 이수하여 글로벌 한국학과에 입학한 외국인 학생들의 원활한 대학 수업을 위하여 대학 과정에 필요한 주요 언어 습득을 목표로 3학기에 걸쳐 단계별 한국어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과 어울려 보다 쉽게 학과 커리큘럼을 이수해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시아 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of Asian culture)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과목이다. 수강생들은 아시아의 지리적‧지정학적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문화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시아의 정세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명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아프리카‧인도양 문명의 이해(Understanding of African-Indian Ocean Civilization)
한국학의 미래는 새로운 해양문명과 대륙문명의 요구에 어떻게 응전하느냐에 따라 달려 있다. 본 수업은 아프리카‧인도양의 인문과학‧자연과학‧문화예술과 관련된 비서구 문명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고, 21세기 탈근대 문명을 연구하기에 적합하다.
한류 콘텐츠 입문(Introduction to Korean Wave Content)
세계 속에서 한류의 열풍이 본격화된 것은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부터이다. 초창기 K-드라마와 K-팝에서 활성화 된 것이 한국의 음식과 영화 등 문화 전반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수업에서는 한류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 전반을 살펴보면서 가장 한국적인 콘텐츠를 여러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패션∙뷰티 캡스톤 디자인(Korean fashion and beauty capstone design)
한국의 전통 의복문화와 현대의 패션산업 개요 및 세계화, 한류를 중심으로 한 뷰티 산업의 개요에 대하여 이해하고, 해당 분야의 산업현장과 관련된 지식을 함양한다.
한국의 드라마 콘텐츠 캡스톤 디자인(Korean drama content capstone design)
한국 드라마의 역사와 특징과 산업적 현황에 대하여 학습하며, 한국 현대사회에서 드라마 콘텐츠가 지니는 의미와 한류문화와 관련한 동향 등에 대하여 학습 및 토론한다.
한국학 미디어 콘텐츠 제작 종합설계(Comprehensive design of Korean Studies media content production)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어를 교육하는 데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즉 사진과 영상 등 미디어 전반의 간단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익히고 습득한다.
한국의 철학과 종교(Korean philosophy and religion)
한국 사회와 문화를 형성해 온 오랜 전통의 기반으로 한국의 철학과 종교를 심도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 종교, 불교, 유교의 주요 특성을 연구하고, 근대에 유입된 기독교 사상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공부한다. 또한 근현대 유입된 서양철학 사조들이 한국 사회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문화비교 입문(Introduction to Culture Comparison)
한국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인류 역사의 주요 문화의 흐름을 분석하고 각 문명권의 주요한 특징들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트랜스 컬쳐론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알아보고, 문화예술의 주요 장르별 특징과 상호 영향관계를 함께 이해한다.
번역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translated literature)
본 수업은 번역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번역 문학 전반을 개괄하는 수업이다. 특히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의 시, 소설, 수필, 비평 등에 대한 자료를 읽으며 이것들이 어떻게 번역문학 속에서 새롭게 변화할 수 있는지 이해한다.
한국 음악과 예능 콘텐츠(Korean music and entertainment content)
한국의 전통 음악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파악하고, 한국 현대사회에서의 대중음악이 지니는 의미와 한류문화와 관련한 K-pop의 동향, 그리고 음악이 예능 콘텐츠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하여 학습 및 토론한다.
한국사회와 다문화 캡스톤 디자인(Korean Society and Multicultural Capstone Design)
근대 식민주의가 전개된 이래로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하여 온 다문화 현상의 문화과정을 살펴보고, 한국 및 한인 사회에서의 타자와의 갈등, 차별 등과 같은 다문화 관련 사회 문제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주의의 등장과 확산 및 그 부작용에 관한 이론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소개하고 한국 및 한인 사회에서 나타나는 사례를 토론한다.
한국 영화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Cinema)
대표적 대중예술매체인 동시에 현대사회의 일부분이 된 영화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 특히 영화가 가지고 있는 예술양식으로서의 이해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과목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한국영화의 형식, 영화의 표현양식, 영화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강의한다.
한국의 도시문화(Korean Urban Culture)
한국의 급격한 현대화로 인해 형성된 도시의 역사적 문화적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현재 활성화된 도시 문화를 연구하며, 향후 미래의 도시문화를 기획해본다.
대중문화와 비평이론(Popular culture and critical theory)
한국 문학과 문화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공부함으로 한국의 대중문화 전반을 장르별로 비평할 수 있는 토대를 학습한다.
한국 현대문화 비평(Criticism of Korean Contemporary Culture)
한류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현대문화의 제 영역들, 곧 영화와 음악과 드라마 등 구체적 작품들을 비평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화 현장실습(Korean culture field training)
해외 국가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개할 수 있도록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장문화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습해보고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한국문화 홍보실무 캡스톤 디자인(Korean culture PR practice capstone design)
해외 국가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개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활용 방법, 문화교류 행사 기획 등 활동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학습한다.
국제교류 실무 현장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on-site for international exchange)
교육기관의 국제교류센터, 다문화센터, 국제교류와 관련한 공공기관 · 비영리 기관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 및 지식에 대하여 학습하여 국제교류와 관련한 실무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다.
외국에서의 한국학 연구(Study of Korean Studies abroad)
세계 주요 국가에서 한국학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아보고, 그 연구에 맞추어서 한국인 연구자가 가져야 할 자세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모색해본다.
한류콘텐츠 산업세미나(Hallyu Content Industry Seminar)
한국 및 글로벌 콘텐츠 산업의 산업 구조 및 시장 규모 현황 분석, 수요자 요구 분석, 최신 트렌드 분석 등을 실천적으로 학습하여 콘텐츠 산업에 대한 이해와 관련 지식을 함양한다. 또한 영화, 음악, 방송 등 한류문화와 글로벌 문화 콘텐츠 중 우수한 사례의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현상 분석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문화와 글로벌비즈니스(Culture and global business)
한류 문화산업과 글로벌 비즈니스를 연결시켜서 글로벌 시장의 화폐흐름과 국제수지, 전자무역, 해외직접투자 이론,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실행 사례, 세계 경제통합 등 글로벌 비즈니스의 특성과 형태에 대한 지식을 문화산업과의 관련성 속에서 연구한다.
콘텐츠 판권과 유통(Content copyright and distribution)
개별 콘텐츠별 특성에 따른 마케팅 목표달성을 위한 유통경로 시스템의 설계와 그 운영관리에 초점을 맞추며, 나아가 최근의 국내외 콘텐츠 유통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유통구조의 혁신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한다.
한국 현대문화 현장실습 캡스톤 디자인(Korean Contemporary Culture Field Practice Capstone Design)
한국의 패션뷰티, 방송, 음식 및 식품업, 대중음악, 영화, 공연예술, 관광 등 한류와 관련한 산업계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이론과 실제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의 최근 트렌드와 이슈를 실제적으로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한국의 관광 캡스톤 디자인(Korea's tourism capstone design)
한국관광 산업과 한국문화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고 관광의 일반적인 현상이 문화적 파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모든 관광에 있어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관광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어학 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Studies)
한국어를 어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법, 음운, 표현, 발음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기초를 습득한다.
한국어 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 대상의 국어교육과 구별되는 요소를 살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 무엇이고, 적절한 교육방법이 무엇인지를 살피면서, 그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이해한다.
한국어 문법론(Korean grammar theory)
한국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법 교육 방법론을 검토함으로써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문법교육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한국어 표현 교육론(Korean expression education theory)
외국어 교육 관점에서 말하기와 쓰기 이론과 원리를 탐구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이루어진 한국어 표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한다. 말하기 및 쓰기의 특징과 교육론 개괄, 교육의 흐름 및 원리, 말하기 및 쓰기 활동과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한국어 발음 교육론(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ory)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음절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발음 교육 모형을 검토한다.
한국어 이해 교육론(Korean Understanding Education Theory)
제2언어로서의 듣기와 읽기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한국어 듣기와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과 교수법 학습 및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 및 교수학습전략, 읽기 교육의 기본 원리 및 교수학습전략 등을 학습한다.
한국어 교육과 언어교수이론(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anguage Teaching Theory)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면서 각 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교실 상황별 및 학습 목적별 교수 방안을 살펴본다.
한국어 교육 실습(Korean language training practic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어휘 및 문법 구성, 영역별 구성, 교실 운영 등의 방법론을 습득하고 이를 모의수업과 강의안 작성을 통해 실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과정론과 교재(Korean Curriculum Theory and Textbooks)
국립 국어원의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주요 교육프로그램 벤치마킹 분석 등을 통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트렌드를 이해하며, 외국인 유학생 및 다문화가정 등 수요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기획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방법을 함양한다.
외국어 습득론(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eory)
한국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을 익히는 과목이다. 한국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영역의 교과 내용을 학습하고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와 기본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한국 문화의 구성 등에 관해 토론하고 습득한다.
대조 언어학(Contrast linguistics)
통시적 관점의 비교언어학과 구분하여 공시적 관점에서 비교/대조를 통하여 언어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따지고 이로 외국어 학습과 습득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한다.
한국어 평가론(Korean evaluation theory)
한국어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학습자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실습하여 봄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능숙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