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President Summit 주제발표 “교육영토 확장”
삼육대, 공동학위·이러닝센터 개발 등 교육 영토 확장에 박차
“해외 유학생 유치 위해 각종 규제 완화해야 할 필요 있어”
▲ 김성익 삼육대 총장. |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해외에서 한국어 과정 수업을 들으려고 하는 학생 수요가 많다. 이는 한류 열풍이 얼마나 뜨거운지를 보여준다. 교육 영토의 다양화와 확장을 위해 현지 한국어학원 설립, 해외 학교 설립, 사이버 대학 설립 등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
김성익 삼육대 총장은 24일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교육 영토 확장’이란 주제로 열린 ‘제5차 프레지던트 서밋’ 사례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총장의 발표 키워드는 ‘해외 유학생’이었다. 사례 발표의 서두에서는 해외 대학들의 사례가 소개 됐다. 미국은 연구와 산업의 고급인력, 숙련된 인력 확보를 위해 국가 정책으로 해외 유학생 유치를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 집권으로 해외 유학생 비자 발급이 까다롭게 바뀌면서 미국 대학도 재정위기에 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그만큼 해외 유학생이 국가 경제에서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미국의 주요 주립대에는 해외 유학생이 전체의 20~30%를 차지한다.
캐나다는 국가재정 수입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해외 유학생 재정수입은 5억 달러에 달하고, 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일자리가 1만개에 다다른다는 것이다.
아시아 국가들도 해외 유학생 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유학생을 확대하기 시작했는데 국가 장학금은 물론, 각 대학별 해외 유학생을 위한 고급 아파트까지 건설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4년 기준 37만명인 해외 유학생을 국제 영향력 강화를 위해 2020년까지 15만명 정도 추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고령화에 시달리는 일본도 해외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이다. 고도인재 수용, 국제 공헌 등을 목적으로 5대 정책을 수립하고 국가가 직접 일본 유학 홍보, 입시·입학·입국 절차 간소화, 대학의 국제화, 유학생 생활환경 개선, 졸업 후 진로까지 연계하는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도 해외 유학생이 많이 유입되고 있지만 유학생 유치가 유학수지 개선과 고령화 대비 학생 충원에 머물러 있다. 인재 유출에 대응하고, 대학의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이나 고도인재의 양성, 고령화 사회 대비 산업까지 고려한 일본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적극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것이 김 총장의 지적이다.
김 총장은 한국의 해외 유학생 유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인증제’를 꼽았다. 유학생이 1% 미만으로 중도 탈락률을 보이는 대학에 비자발급이 자유로운 현행 정책이 너무 과도하다는 것이다. 김 총장은 “한국학생의 중도 탈락률이 3.5%를 넘는 상황에서 외국인 학생 중도 탈락률을 1% 미만으로 유지하라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삼육대도 어렵게 국제교육인증을 받았는데 유지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김 총장은 삼육대의 교육 영토 확장 사례를 공유했다. 주변에 하숙촌이 없는 수도권 대학 중 하나로 해외 유학생 유치가 힘들어지자 2019년까지 430억원을 투입해 유학생 1500명이 수용 가능한 생활관을 건축하고 있다.
학생의 질 관리에도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김성익 총장은 “삼육대는 유학생 프로그램을 대학 내 새로운 대학 하나를 세운다는 생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상당수의 유학생을 유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학교 이념에 맞는 학생을 선별하기 위해 철저하게 면접과정을 거치는 것은 물론 현지 가정방문까지 고려하고 있다. 한국에서 공부하고 싶어 하는 학생을 뽑기 위한 과정이다. 그 외에도 국가장학금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맞춤형 전공과 강좌, 학생지도까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삼육대는 교육 영토를 중국, 인도, 베트남 뿐 아니라 브라질과 아프리카, 유럽, 북미까지도 확장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1+3, 2+2의 공동학위 과정을 확대하고 현지에 한국어 과정 설립과 익스텐션 스쿨(Extention School) 확대, 사이버 학위, 이러닝 센터 출범 등 해외 교육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김 총장은 교육 영토의 확장을 위해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 총장은 “미국은 주 정부에 등록만 된 대학도 비자가 발급되고, 건물이 없는 사이버 대학도 비자를 발급한다”며 “이에 대해 국가가 전혀 문제 삼지 않는데 그런 면에서 개방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고등교육시장의 영토 확장을 위해 대학 교육 수출을 국가정책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여러 규제 요소를 풀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 총장은 “등록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가장 빠르게 재정문제 혜택을 볼 수 있는 길은 유학생 확대 정책”이라며 “앞서 언급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강구하고, 철저한 학사관리와 관심을 통해 유학생의 질을 높이면 대학의 어려움을 회복할 수 있는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90136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90123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80528010010893